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이슈

19조 적자 ‘서울교통공사’ 폭탄! 요금 인상으로 살아날

by 그리부이옳옳 2025. 4. 21.

서울 시민의 발, 서울 지하철이 처한 19조 원 적자 위기와 이를 메우기 위한 요금 인상 소식을 속속들이 파헤쳐볼게요! 매일 지하철 타는 우리, 이 소식이 그냥 스쳐갈 뉴스가 아니죠. 과연 요금 올리면 적자 구렁텅이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아니면 또 다른 부담이 될까? 가독성 100%, 흥미 200%로 정리했으니, 커피 한 잔 들고 함께 달려봅시다! 🚄

19조 적자, 도대체 왜 이렇게 됐나?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과 9호선 일부를 운영하며, 매일 700만 명 이상을 실어 나르는 도시의 심장이에요. 하지만 이 심장이 19조 원이라는 천문학적 적자에 허덕이고 있죠! 이게 어느 정도냐면, 서울시 1년 예산(약 40조 원)의 절반에 가까운 금액이에요. 어떻게 이런 일이?

 

적자의 주요 원인

  • 낮은 요금 현실화율: 2023년 기준, 승객 1명을 태울 때마다 858원 손해! 요금(1400원)은 원가(약 2000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 무임승차 손실: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대상 무임승차로 연간 3000억 원 이상 손실. 2021년 무임승차 인원은 전체의 15.9%(2억574만 명)
  • 코로나19 여파: 2020~2021년 승객 감소로 운수 수입이 2조→1.6조 원으로 뚝. 적자는 2020년 1.1조, 2021년 9644억 원으로 폭증했어요.
  • 노후 시설 유지비: 1~8호선 평균 33년, 시설 35.6%가 D등급(교체 시급). 2026년까지 4조 원 이상 투입 필요
  • 높은 인건비: 2022년 인건비는 매출(2.1조)의 67%(1.3조). 2018년 무기계약직 1300명 정규직 전환도 부담 가중.

충격 사실: 서울교통공사는 2023년 적자 7237억 원, 누적 부채 7.5조 원! 2028년엔 부채 10조 원 돌파 예상. 이건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우리 지하철의 미래를 위협하는 위기예요

요금 인상, 언제·얼마나 오르나?

서울교통공사는 적자를 메우기 위해 요금 인상 카드를 꺼내들었어요. 이미 2023년 10월, 8년 만에 요금을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올렸지만, 여전히 적자 해결엔 턱없이 부족! 그래서 추가 인상이 추진 중이죠.

 

2025년 요금 인상 계획

  • 인상 시기: 당초 2025년 3월 예정이었던 150원 인상(1400→1550원)이 경기도·의회 갈등으로 연기. 6월 인상으로 행정절차 마무리 수순.
  • 인상 효과: 150원 인상 시 연간 1600억 원 추가 수입 예상. 하지만 2024년 적자(2조 원)엔 여전히 미흡.
  • 정치적 걸림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 조기 대선(2025년 4~5월 가능성)으로 “민생 부담” 우려 속 인상 동력 약화.
  • 수도권 협의: 서울·인천·경기·코레일 간 통합환승 할인제 때문에 협의 필요. 경기도의회 심의 통과로 6월 인상 가능성 ↑.

요금 인상 타임라인

2015 1250원 - 8년 동결 시작
2023.10 1400원 150원 8년 만에 인상, 적자 17조 원 돌파
2025.06 1550원 150원 누적 적자 19조, 경기도의회 심의 통과

핫 이슈:핫이슈: 150원 인상 후에도 요금 현실화율은 60%대. 공사는 250~500원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시민 부담 논란은 여전

 

요금 인상, 정말 답일까? 뜨거운 쟁점들

요금 인상이 적자 해결의 만병통치약일까요? 시민, 전문가, 정치권의 의견은 엇갈려요. 주요 이슈를 정리해 봤습니다! 

 

찬성 측: “인상 없인 지하철 망한다!”

  • 만성 적자 해결: 연간 1조 원대 적자, 2028년 부채 10조 원 전망. 요금 인상 없으면 서비스 지속 불가능.
  • 노후 시설 개선: 물 새는 역사, 에어컨 없는 역, D등급 시설 36%. 안전 위해 4조 원 투자 급선무.
  • 미래 세대 부담 경감: 윤영희 시의원 “요금 현실화 미루는 건 빚 떠넘기기!”

반대 측: “시민 호주머니 털기냐?”

  • 서민 부담 가중: 물가 상승, 전기·가스 요금 인상 속 지하철까지 오르면 서민 가계 직격탄.
  • 경영 비효율 지적: 경실련 “요금 올리기 전 비용 구조 점검해야!” 광고 수익, 자산 매각 등 자구책 미흡.
  • 무임승차 논란: 노인 무임승차 손실(연 3000억 원) 해결 위해 정부 보전 요구. “노인복지 축소는 세대 갈등 조장” 반발.

무임승차 해법 논쟁

  • 현황: 65세 이상 무임승차로 2021년 2784억 원 손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으로 손실 더 커질 전망.
  • 제안: 무임 연령 65→70세 상향 시 연 1524억 원 절감 가능. 하지만 사회적 합의 부족, 국회 법안 폐기 전례.
  • 대한노인회 반발: “지하철 적자는 높은 연봉, 방만 경영 탓!” 직원 평균 연봉(3000만~4000만 원) 과장 논란.

흥미 포인트: 공사는 역명 판매(연 20억 원), 캐릭터 ‘또타’ 굿즈로 부수입 올리는 중! 하지만 19조 적자 앞에선 “지푸라기” 수준.

요금 인상이 가져올 변화는?

6월 1550원 인상이 현실화되면, 우리 일상에 어떤 파장이 올까요? 긍정·부정 시나리오를 짚어봤습니다!

 

긍정적 변화

  • 안전한 지하철: 노후 전동차 교체, 스크린도어 개선으로 사고 위험 ↓. 구의역 사고 같은 비극 방지 가능.
  • 서비스 업그레이드: 에어컨 설치, 실시간 교통 정보 강화로 이용 편의 ↑.
  • 재정 안정: 연 1600억 원 추가 수입으로 부채 증가 속도 완화.

부정적 변화

  • 서민 부담: 월 20회 이용 시 추가 비용 3000원. 저소득층, 학생 타격 클 듯.
  • 승객 감소 우려: 요금 오르면 자가용·버스 전환 가능성. 공사 수입 역효과 날 수도.
  • 정치적 논란: 대선 국면 속 “표심” 민감해 인상 지연 가능성. 장기적 해결책 부재 우려.

생각해볼생각해 볼 점: 요금 인상만으론 19조 적자 해결 불가능! 공사는 광고 확대, 정부 보조금, 무임승차 보전 등 다각적 해법 고민 중이에요.

 

마치며: 서울 지하철, 어디로 가나?

19조 적자에 허덕이는 서울교통공사, 6월 150원 인상으로 숨통이 트일지, 아니면 시민 부담만 커질지, 2025년은 중대한 갈림길이에요. 탄핵 정국, 대선 정세 속에서 요금 인상은 단순한 숫자 문제가 아니라 안전, 복지, 서민 경제를 아우르는 뜨거운 감자죠. 서울 지하철이 시민의 발로 계속 달릴 수 있도록, 우리 모두 관심 가져봅시다!